본문 바로가기
Medicial/분노조절

충동조절 장애

by leo73kim 2018. 10. 3.
728x90
반응형

충동조절장애

 

 

진단적 특징

행위 동기가 분명하지 않고,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칠만한 행동을 하려는 충동, 욕구, 유혹에 어장, 억제하지 못하고 이를 반복(상대의 나이와 직분에 관련없이 하는 행동으로, 지름으로서 스트레스 해소), 


충동억제에 대한 긴장을 이기지 못하고 일단 실행하여 쾌감, 만족감, 해방감을 경험.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스스로 이상하다고 느끼지 않으며 대개 행위 후, 자책, 후회 책임감이 없는 편(뻔뻔함) 해방감을 느낌. 


대체적으로 반복적인 행동을 보거나, 개인의 스트레스에 의해서, 반복적 행동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 각각 다른날, 같은 이유로 지적을 하거나, 감정조절이 안되는데, 자신만의 감정이입의 의심 또는 질책을 받을때, 반항심 및 분노를 참지 못하는 경우 (개인마다 다름)


하위장애

1. 간헐적 폭발장애 

심각한 폭력이나, 재산의 파괴를 초래하는 공격적 충동에 저항하지 못함. (청소년의 경우, 자신의 물건을 부숴야 감정적 해소가 됨) 충동적 장애중 빈번한 상황)


2. 병적도벽 

자신에게 필요없는 물건을 훔치려는 충동에 저항하는데 반복적으로 실패 필요성이 없어야 한다. 


3. 병적 방화

기쁨, 만족, 긴장완화를 위해 불을 지름


4. 병적 도박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부적응적 도박행동

명절때는 아니고, 반복적으로 자신의 생활이 불가능한 경우 까지 


5 발모광

기쁨, 만족, 긴장완화를 위해 자신이 털을 뽑음.


6. 달리 분류되지 않은 충동조절 장애.
















간헐적 폭발 장애 진단기준

▶ 심각한 공격적 행위나 재산파괴를 초래하는 공격적 충동을 저지하지 못하는 불연속적인 삽화 심각한 공격적 행위, 얼굴가격, 핸드폰 던지기 저지하지 못함.


▶ 삽화[각주:1]동안 나타나는 공격성의 정도가 촉발적인 정신사회적인 압박감에 비례하지 않는다. 


공격적 삽화가 다른 정신장애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으며(예 반사회성 인격장애, 품행장애)등, 물질(약물남용 등)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두부외상, 알츠하이머등)의 직접적인 생리효과로 인한것이 아니다. 



특징

▶    폭발적인 삽화와 삽화사이의 기간동안 일반화된 충동성이나 공격성 징후가 나타날 수 있음.

▶    자기애성, 강박성, 편집성(의심), 정신분열성 인격 특성의 개인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분노를 폭발적으로 분출하기 쉬움.

▶    이 장애로 인해, 직업상실, 정학, 이혼, 대인관계 어려움, 사고 및 입원 또는 투옥이 초래 될 수 있음. 



검사소견

▶     비 특징적인 뇌파소견, 또는 신경심리적 검사에서 이상반응.

▶     세로토닌 대사의 변화가 충동적, 폭발적인 일부 개인들의 뇌 척수에서 발견.

유병율

▶     미국에서 약 7.3%유병율

▶     다른장애와 공존율이 높고 평균 발병 연력은 14세.

▶    대략 2:1 비율로 남상에게서 유세


원인   


     

▶     가족사와 유전적 요인

▶     신경 생물학적 요인- 저전두피질의 활성화가 낮음(사춘기 시기)

이마부분의 활성화가 낮음(생각, 이성적 생각을 100% 조절함)

▶    신경전달물질 불균형






Today's Command. 

분노라고 하는 격정 만큼, 남성을 빨리 소모시키는 것도 없다.



  1.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이렇게 짧게 끼인 형태의 삽화처럼 갑자기 특정 성향이 짧게 발현하는 일을 가리킨다. 단순히 기분이 우울해지거나 하는 것이 아닌 정신, 행동에 전반적인 문제를 불러오는 것, 그리고 발생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구분이 명확하다는 것이 구체적인 정의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스튜디오 피(Photofactory) | 김승환 | 서울시 서초구 서초중앙로188 아크로비스타 | 사업자 등록번호 : 284-06-01588 | TEL : 010-5328-1112 | Mail : leojerrykim@outlook.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0-서울서초-1753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Medicial > 분노조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노의 성격적 특징  (0) 2018.10.18
발달 과정과 분노  (0) 2018.10.10
반사회성 인격장애(성격장애)  (0) 2018.10.04
분노의 이해  (0) 2018.10.03
분노패턴 발견하기  (0) 2018.09.29